일차적인 엉덩관절의 굽힘근육에는 엉덩허리근, 넙다리빗근, 넙다리근막긴장근, 넙다리곧은근, 긴모음근, 그리고 두덩근이 있다. 이차적인 엉덩관절의 굽힘근육에는 짧은모음근 두덩정강근, 그리고 작은볼기근의 앞섬유들이 있다. 또한 엉덩관절 굽힘근육으로서의 가치는 없지만, 작은허리근도 있다. 엉덩허리근과 작은 허리근 엉덩허리근은 열두째등뼈와 몸 쪽 넙다리뼈 사이에 걸쳐 있는 크고 긴 근육이다. 해부학적으로, 엉덩허리근은 두 개의 근육인 엉덩근과 큰허리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엉덩근은 엉덩뼈오목과 엉치엉덩관절의 바로 위쪽에 있는 엉치뼈의 가장 가쪽 테두리에 부착되어 있다. 큰허리근은 척추원반을 포함한 열두째등뼈와 모든 허리뼈의 가로돌기에 부착된다. 큰허리근의 일부 몸 쪽 부착부위는 가로막의 척추 부착부위와 섞인다. 엉..
허리골반리듬 몸통뼈대의 아래쪽 끝 부위는 엉치엉덩관절을 통해 골반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결과적으로, 넙다리뼈 머리에 대한 골반의 돌림 운동은 허리뼈의 배열상태를 변화시키게된다. 이런 중요한 운동형상학적 관계를 허리골반리듬이라한다. 넙다리뼈에 대한 골반의 굽힘동안 자주 사용되는 두가지 유형의 허리골반리듬이 있다. 1.같은쪽 방향의 리듬은 허리뼈와 골반이 같은방향으로 돌림운동 하는움직임으로서, 전반적인 몸통 동작을 확대시킨다. 2. 반대쪽 방향의 리듬은 허리뼈와 골반이 반대방향으로 돌림운동 하는 움직임을 말한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결과는 골반이 넙다리뼈에 대해 돌림 운동을 할 때 허리위 몸통은 거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유형의 리듬은 걷기 동..
절구정렬 해부학적 위치에서, 절구는 일반적으로 골반에서 가쪽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는 구조이며 약간의 아래쪽과 앞쪽으로의 경사를 가지고 있다. 선천적 또는 발달상의 상황은 비정상적인 형태의 절구를 유발한다, 넙다리뼈머리를 적절하게 덮지 못하는 형태이상인 절구형성이상증은 만성적인 탈구 그리고 통증, 퇴행, 또는 뼈관절염을 흔히 유발하는 증가된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임상가들은 절구의 형태와 구조 그리고 넙다리뼈머리에 대한 절구의 방향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의료용 영상을 통한 측정을 사용한다. 이러한 측정은 수술적 또는 비수술적 관리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형성이상증의 심각성을 정의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많은 측정법 중 2가지인 중심-모서리각도 ..
넙다리뼈머리 넙다리뼈머리는 샅고랑 인대의 중간1/3지점의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평균적으로, 성인의 오른쪽과 왼쪽 넙다리뼈머리의 중심 간 거리는 17.5cm 이다. 넙다리뼈머리는 거의 완전한 구형의 약 2/3에 해당한다. 넙다리뼈머리 중심의 약간 뒤쪽에는 넙다리뼈머리오목이 위치해 있다. 이 넙다리뼈머리오목 영역을 제외한 넙다리뼈머리의 전체 표면은 관절연골로 덮여 있다. 관절연골은 넙다리뼈오목의 위쪽과 약간 앞쪽에 있는 넓은 영역이가장 두껍다. 원인대는 절구가로인대와 넙다리뼈오목 사이에 걸쳐 있으며, 윤활막으로 쌓인 관 모양의 결합조직이다. 이 인대는 신생아의 넙다리뼈머리로 가는 작은 절구동맥의 통로를 위한 보호관 또는 보호집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성인에 있어 절구동맥이 있다면, 넙다리뼈애 약간의 혈..
볼기뼈 각 볼기뼈는 3개의 뼈인 엉덩뼈, 두덩뼈, 그리고 궁둥뼈의 결합체이다. 오른쪽과 왼쪽의 볼기뼈는 앞쪽에서의 두덩뼈 결합과 뒤쪽에서의 엉치뼈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 골반이라 언급되는 완전한 뼈인대고리를 형성한다. 골반은 매우 다르지만 중요한 3개의 기능과 연관 있다. 첫째, 골반은 다리와 몸통의 많은 큰 근육들을 위한 공통의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 또한 골반은 상체와 몸통의 무게를 앉아 있는 동안 궁둥뼈 결절로 그리고 서 있거나 걷는 동안 다리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골반 바닥의 근육과 결합조직들의 도움을 받는다면, 골반은 배변, 소변, 그리고 생식 기능과 연관된 기관들을 지지하게 된다. 골반의 바깥면은 3개의 뚜렷한 외형을 갖고 있다. 큰 부채모양을 한 엉덩뼈날개는 볼기뼈의 ..
등상부 척추기립근의 약화 등 상부 척추기립근의 약화는 어깨를 앞쪽으로 구부정하게 하고 등 상부를 둥글게 만든다. 만일 등이 불완전한 자세로 고착되지 않았다면, 등 상부의 신근을 강화시키고 앞쪽 흉부 대립근들의 단축을 이완시키는 운동이 도움이 된다. 상응하는 어깨 지지근들은 매우 약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중부와 하부 승모근은 등 상부 신근을 강화시키고 어깨를 뒤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근육들을 운동시키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대립근의 단축을 검사할 필요가 있다. 광배근과 대원근, 대흉근과 소흉근의 길이에 대한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전상복부근육들의 단축과 흉부 팽창의 제한은 등 상부를 똑바로 펴기 위한 노력을 방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능형근의 운동..
횡격막 횡격막은 압력을 구분하고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기능을 감당하려면 정상적인 길이와 근력을 지녀야 한다. 횡격막의 상하운동이 제한을 받거나 지나치면 흡기와 호기의 효율이 떨어진다. 페기종과 같은 특정한 호흡 상태에서는 이완 시 횡격막이 돔 형태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짧고 납작한 상태로 남는다. 휴식 단계에서 폐가 부분적으로 부풀어 있으므로 압력을 발생시키는 능력과 흡기 능력이 감소된다. 또한 횡격막이 힘을 전달하여 폐를 비우도록 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복근에 의해 보호되는 복부장기는 흡기 시에 횡격막이 밑으로 처지는 것을 막고 호기 시에 위로 움직이도록 돕는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횡격막이 반대로 작용할 수 있다. 극적인 회백수염에 걸려 인공호흡기 안에 있는 신생아에게서 극단적인 ..

호흡은 기관의 세포와 외부 환경 간의 가스 교환을 의미한다. 호흡에는 다양한 신경적, 화학적 요소와 근육 요소가 연관되지만 여기에서는 특히 근육의 역할에 대해 다루겠다. 호흡은 환기와 순환으로 이루어진다. 환기는 가스가 폐 안팎으로 환류되는 것이고, 순환은 이 가스를 각각의 세포 조직에 운반하는 것이다. 비록 폐와 조직에서 가스의 움직임은 확산에 의한 것이지만, 가스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호흡과 심장의 작용이 필요하다. 호흡을 위한 펌프는 호흡근과 흉곽으로 구성되며, 흉곽은 늑골, 견갑골, 쇄골, 흉골, 흉추로 이루어진다. 이 골격근 펌프의 압력에 의해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폐 안에서 확산되어 가스가 폐안팎으로 교류할 수 있게 한다. 호흡근에 의해 폐와 흉벽, 그리고 공기의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숨쉬기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