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적 고려사항 넙다리네갈래근은 크고 강력한 무릎 폄근육으로서, 단면적이 뒤넙다리근보다 2.8배나 더 크다. 네갈래근은 넙다리곧은근, 가쪽넓은근 그리고 좀 더 깊은 곳에 있는 중간넓은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큰 넓은 근들은 무릎에서의 전체 폄 토크 중 약 80%를 생산하고, 넙다리곧은근은 약 20%를 생산한다. 3개의 넓은 근들의 수축은 간지 무릎만을 폄 시킨다. 그러나 넙다리곧은근은 엉덩관절의 굽힘과 무릎의 폄을 유발한다. 네갈래근의 모든 갈래는 무릎뼈의 바닥과 옆면에 부착하는 강력한 네갈래근 힘줄을 형성하기 위해 합쳐진다. 무릎힘줄은 무릎뼈의 꼭지와 정강뼈거친면을 연결한다. 가쪽넓은근과 안쪽넓은근은 무릎 지지띠 섬유들을 통해 관절주머니와 단달 연골들에 부착된다. 네갈래근, 그리고 무릎힘줄은 함께 무릎..
해부학과 기능 앞십자인대는 정강뼈 고원의 앞 융기 사이 영역에 있는 패인 부위를 따라 부착된다. 앞십자인대는 이 부착 부위에서 가 쪽 넙다리뼈 관절융기의 안쪽 면에 부착하기 위해 뒤쪽, 그리고 가 쪽 방향을 향해 사선 주행을 한다. ACL 내에 있는 아교섬유들은 주로 I형 아교질로 구성된 분리된 나선형 다발이 서로에 대해 꼬여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숫자와 설명에 있어 다르게 보고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는 ACL 내에 2세트의 섬유 다발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정강뼈에 대한 이들의 부착 부위에 따라 앞-안쪽 다발과 뒤-가쪽다발로 명명된다. ACL 내 섬유 다발의 장력, 꼬임, 그리고 전반적인 공간적 방향은 무릎이 굽힘과 폄을 함에 따라 변한다. 시상 면 가동범위의 어떤 지점에서, ACL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