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골반리듬 몸통뼈대의 아래쪽 끝 부위는 엉치엉덩관절을 통해 골반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결과적으로, 넙다리뼈 머리에 대한 골반의 돌림 운동은 허리뼈의 배열상태를 변화시키게된다. 이런 중요한 운동형상학적 관계를 허리골반리듬이라한다. 넙다리뼈에 대한 골반의 굽힘동안 자주 사용되는 두가지 유형의 허리골반리듬이 있다. 1.같은쪽 방향의 리듬은 허리뼈와 골반이 같은방향으로 돌림운동 하는움직임으로서, 전반적인 몸통 동작을 확대시킨다. 2. 반대쪽 방향의 리듬은 허리뼈와 골반이 반대방향으로 돌림운동 하는 움직임을 말한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결과는 골반이 넙다리뼈에 대해 돌림 운동을 할 때 허리위 몸통은 거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유형의 리듬은 걷기 동..
절구정렬 해부학적 위치에서, 절구는 일반적으로 골반에서 가쪽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는 구조이며 약간의 아래쪽과 앞쪽으로의 경사를 가지고 있다. 선천적 또는 발달상의 상황은 비정상적인 형태의 절구를 유발한다, 넙다리뼈머리를 적절하게 덮지 못하는 형태이상인 절구형성이상증은 만성적인 탈구 그리고 통증, 퇴행, 또는 뼈관절염을 흔히 유발하는 증가된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임상가들은 절구의 형태와 구조 그리고 넙다리뼈머리에 대한 절구의 방향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의료용 영상을 통한 측정을 사용한다. 이러한 측정은 수술적 또는 비수술적 관리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형성이상증의 심각성을 정의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많은 측정법 중 2가지인 중심-모서리각도 ..
넙다리뼈머리 넙다리뼈머리는 샅고랑 인대의 중간1/3지점의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평균적으로, 성인의 오른쪽과 왼쪽 넙다리뼈머리의 중심 간 거리는 17.5cm 이다. 넙다리뼈머리는 거의 완전한 구형의 약 2/3에 해당한다. 넙다리뼈머리 중심의 약간 뒤쪽에는 넙다리뼈머리오목이 위치해 있다. 이 넙다리뼈머리오목 영역을 제외한 넙다리뼈머리의 전체 표면은 관절연골로 덮여 있다. 관절연골은 넙다리뼈오목의 위쪽과 약간 앞쪽에 있는 넓은 영역이가장 두껍다. 원인대는 절구가로인대와 넙다리뼈오목 사이에 걸쳐 있으며, 윤활막으로 쌓인 관 모양의 결합조직이다. 이 인대는 신생아의 넙다리뼈머리로 가는 작은 절구동맥의 통로를 위한 보호관 또는 보호집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성인에 있어 절구동맥이 있다면, 넙다리뼈애 약간의 혈..
볼기뼈 각 볼기뼈는 3개의 뼈인 엉덩뼈, 두덩뼈, 그리고 궁둥뼈의 결합체이다. 오른쪽과 왼쪽의 볼기뼈는 앞쪽에서의 두덩뼈 결합과 뒤쪽에서의 엉치뼈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 골반이라 언급되는 완전한 뼈인대고리를 형성한다. 골반은 매우 다르지만 중요한 3개의 기능과 연관 있다. 첫째, 골반은 다리와 몸통의 많은 큰 근육들을 위한 공통의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 또한 골반은 상체와 몸통의 무게를 앉아 있는 동안 궁둥뼈 결절로 그리고 서 있거나 걷는 동안 다리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골반 바닥의 근육과 결합조직들의 도움을 받는다면, 골반은 배변, 소변, 그리고 생식 기능과 연관된 기관들을 지지하게 된다. 골반의 바깥면은 3개의 뚜렷한 외형을 갖고 있다. 큰 부채모양을 한 엉덩뼈날개는 볼기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