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물리치료학

엉덩관절의 기능해부학 2

코드밀리 2022. 10. 3. 15:52

절구정렬

해부학적 위치에서, 절구는 일반적으로 골반에서 가쪽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는 구조이며 약간의 아래쪽과 앞쪽으로의 경사를 가지고 있다. 선천적 또는 발달상의 상황은 비정상적인 형태의 절구를 유발한다, 넙다리뼈머리를 적절하게 덮지 못하는 형태이상인 절구형성이상증은 만성적인 탈구 그리고 통증, 퇴행, 또는 뼈관절염을 흔히 유발하는 증가된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임상가들은 절구의 형태와 구조 그리고 넙다리뼈머리에 대한 절구의 방향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의료용 영상을 통한 측정을 사용한다. 이러한 측정은 수술적 또는 비수술적 관리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형성이상증의 심각성을 정의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많은 측정법 중 2가지인 중심-모서리각도 그리고 절구앞경사각도가 앞으로 설명된다.

 

중심-모서리각도

중심-모서리 각도는 넙다리뼈머리를 덮고 있는 절구의 정도를 나타낸다.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인 성인 인구에서는 약25~35도의 평균 CE각도를보인다고 보고 하였다. 낮은 CR각도는 넙다리뼈머리를 덮는 절구의 범위가 감소된 것을 나타낸다. 덮는 범위의 감소는 탈구의 위험성이 더 커진다는 것과 관절 내의 접촉면적의 감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E 각도가 단지 15도 라면, 정상적인 접촉면적의 35%가 감소된다고 제안된다. 걷기의 한다리지지기 동안, 이런 작아진 접촉 경계면으로 인해 이론적으로 관절 압력은 50% 정도 증가된다. 여러 해에 걸친 걷기에 의해, 이런 상황은 너무 이른 엉덩관절의 퇴행이나 뼈관절염을 유발하게 된다. CE 각도가 일반적으로 불충분하게 덮는 절구의 면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기는 하지만, 높은 CE각도는 절구에 의해 넙다리뼈 머리가 과도하게 덮인다고 제안된다. 과도한 덮임은 부딪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끝 범위의 동작들 동안 엉덩관절을 손상시킬 수 있다.

 

절구앞경사각도

절구앞경사각도는 절구가 앞쪽으로 향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골반의 수평면을 보여주는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측정될수있다. 정상적으로 이러한 각도는 약20도이며, 이것은 앞쪽으로 노출된 넙다리뼈머리의 일부를 나타낸다. 두꺼운 앞관절주머니인대와 엉덩허리근의 힘줄이 이런 노출된 부분을 덮고 지지하기는 하지만, 과도한 절구앞경사가 있는 엉덩관절에서는 덮여져야할 필요가 있는 노출의 정도는 더 커지게 된다. 절구앞경사가 심각하다면, 엉덩관절이 강하게 가쪽돌림 될 대 앞쪽 아탈구 또는 탈구를 쉽게 당하게 된다. 엉덩관절이 넙다리뼈앞경사와 절구앞경사 둘 다의 과도함을 갖고 있다면, 앞쪽 노출과 불안정의 문제는 악화될 것이다. 대신 절구앞경사의 각도가 제로에 근접하거나 실제적으로 음의 각도를 보인다면, 뒤경사된 절구는 관절 경계면에 대한 비정상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엉덩관절의 관절주머니와 인대

엉덩관절주머니의 속면에는 윤활막이 놓여 있다. 관절주머니의 바깥면은 엉덩넙다리인대, 두덩넙다리인대, 그리고 궁둥넙다리인대에 의해 강화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인대는 절구 가장자리 꼭대기의 평균약5mm의 안쪽에 있는 절구의 바깥쪽 뼈 둘레에 대한 인대의 특정 몸쪽 부착부위에 따라 명명된다. 앞관절주머니의 일부는 3개의 근육인 덜 알려진 엉덩주머니근, 작은볼기근, 그리고 넙다리곧은근의 굴절된 힘줄로부터의 강화된 부착을 받는다. 신장된 인대들, 인접 관절주머니,그리고 주변 근육들에서 발생한 수동장력은 엉덩관절의 끝범위 움직임을 제한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절주머니의 다양한 부분들에서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엉덩관절의 제한된 운동을 치료하기 위한 물리치료의 중요 성분이 된다. 

엉덩넙다리인대는 굵고 강한 결합조직의 막이며, 역Y자를 닮았다. 몸쪽으로, 엉덩넙다리인대는 아래 앞엉덩뼈가시 근처와 절구의 인접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다. 구분이 되는 안쪽다발과 가쪽다발의 섬유들은 넙다리뼈돌기사이선의 양 끝쪽에 각각 부착한다. 엉덩관절의 완전한 폄 동작은 엉덩넙다리인대와 앞관절주머니를 신장시킨다. 또한 환전한 가쪽돌림은 엉덩넙다리인대 특히 가쪽 섬유다발들을 신장시킨다. 엉덩넙다리인대는 엉덩관절에서 가장 강하고 뻣뻣한 인대이다. 엉덩관절이 완전히  폄된 상태로 사람이 서 있을 때, 넙다리뼈머리의 앞면은 엉덩넙다리인대와 위에 놓인 엉덩허리근을 견고하게 누른다. 서 있는 자세에서, 이러한 구조들에서의 수동장력은 엉덩관절이 좀 더 폄되려는 것을 저항하는  안정화의 중요한 힘을 형성한다. 하반신마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서 있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신장되고 팽팽해진 엉덩넙다리인대에서의 수동장력에 의존하게된다. 엉덩넙다리인대의 섬유들보다는 더 가늘기는 하지만, 두덩넙다리인대와 궁둥넙다리인대는 관절주머니와 섞이면서 관절주머니를 강화시켜 준다. 두덩넙다리인대는 절구의 앞쪽과 아래쪽 가장자리 그리고 두덩뼈위가시와 폐쇄막의 인접한 부분들을 따라 부착된다. 엉덩넙다리인대의 안쪽다발들과 섞이게 되는 두덩넙다리인대의 섬유들은 엉덩관절의 벌림과 폄 그리고 약간의 가쪽돌림 시 팽팽하게 된다. 궁둥넙다리인대는 절구의 뒤와 아래면에 부착하는데, 주로 인접 궁둥뼈에 부착한다. 이 인대의 대부분을 대표하는 얕은섬유들은 큰돌기의 꼭지 근처에 부착하기 위해 넙다리뼈목의 뒤쪽을 위쪽과 가쪽 방향인 나선형으로 가로지른다. 이러한 얕은 섬유들이 완전한 편에서 단지 약간만 팽팽하게 당겨지는데 특히 10~20도의 벌림과 결합될 때 현저해진다. 궁둥넙다리인대의 일부 깊은섬유들은 인접한 뒤와 아래관절주머니의 고리섬유들 과 섞인다. 이러한 관절주머니의 깊은 부분들은 엉덩관절 굽힘의 끝 범위에서 신장된다.

'물리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엉덩관절의 굽힘근육  (0) 2022.10.04
넙다리뼈에 대한 골반의 뼈운동형상학  (0) 2022.10.03
엉덩관절의 기능 해부학  (0) 2022.10.03
골반관절의 뼈들  (0) 2022.10.03
등 상부통증 의 원인들  (0) 2022.10.02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