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한쪽 구획의 뼈 관절염과 안굽이무릎 평탄한 지형을 정상 속도로 걷는 동안, 무릎에서의 관절만 작용력은 체중의 약2.5~3배에 달하게 된다. 이러한 힘은 걸음 주기의 약 15% 지점과 45% 지점에서 최대가 된다. 힘은 다리에 있는 근육들과 지면 반발력에 의해 발생한 힘들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다. 거의 전체 디딤이 동안, 지면 반발력은 일반적으로 발꿈치의 바로 가 쪽을 지나서, 신체의 중력중심을 향해 계속됨에 따라 무릎의 위쪽과 안쪽으로 지나간다. 무릎에 있는 앞-뒤쪽 돌림 축의 안쪽으로 지나감에 따라, 지면 반발력은 걸음마다 무릎에서 안굽이 토크를 생산한다. 결과적으로, 걷기 동안 관절만 작용력은 일반적으로 무릎의 가 쪽 관절구획에서보다 안쪽 관절구획에서 몇 배나 더 크게 된다. 일생, 이런 반복..
기능해부학 뒤넙다리근은 궁둥뼈결절에 몸쪽 부착 부위를 갖는다. 넙다리두갈래근의 짧은갈래는 넙다리뼈 거친 선의 가 쪽 융기에 몸쪽 부착 부위를 갖는다. 뒤넙다리근은 무릎을 가로질러 정강뼈와 종아리뼈에 먼 쪽 부착 부위를 갖는다. 반막근은 정강뼈 안쪽관절융기의 뒷면에 먼 쪽 부착 부위를 갖는다. 이 근육의 부가적인 먼 쪽 부착 부위로는 안쪽곁인대, 양쪽 반달연골, 그리고 빗오금인대가 있다. 대부분의 주행 경로에 있어, 반힘줄근의 힘줄은 반막근의 뒤쪽에 놓여 있다. 그러나 무릎의 바로 몸쪽에서 반힘줄근의 힘줄은 정강뼈의 앞-안쪽 면에 부착하기 위해 앞쪽으로 주행하게 된다. 넙다리두갈래근의 긴 갈래와 짧은갈래는 주로 종아리뼈머리에 부착하고, 일부는 가쪽곁인대, 몸쪽 정강종아리관절의 관절주머니, 그리고 정강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