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상부 척추기립근의 약화 등 상부 척추기립근의 약화는 어깨를 앞쪽으로 구부정하게 하고 등 상부를 둥글게 만든다. 만일 등이 불완전한 자세로 고착되지 않았다면, 등 상부의 신근을 강화시키고 앞쪽 흉부 대립근들의 단축을 이완시키는 운동이 도움이 된다. 상응하는 어깨 지지근들은 매우 약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중부와 하부 승모근은 등 상부 신근을 강화시키고 어깨를 뒤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근육들을 운동시키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대립근의 단축을 검사할 필요가 있다. 광배근과 대원근, 대흉근과 소흉근의 길이에 대한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전상복부근육들의 단축과 흉부 팽창의 제한은 등 상부를 똑바로 펴기 위한 노력을 방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능형근의 운동..
횡격막 횡격막은 압력을 구분하고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기능을 감당하려면 정상적인 길이와 근력을 지녀야 한다. 횡격막의 상하운동이 제한을 받거나 지나치면 흡기와 호기의 효율이 떨어진다. 페기종과 같은 특정한 호흡 상태에서는 이완 시 횡격막이 돔 형태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짧고 납작한 상태로 남는다. 휴식 단계에서 폐가 부분적으로 부풀어 있으므로 압력을 발생시키는 능력과 흡기 능력이 감소된다. 또한 횡격막이 힘을 전달하여 폐를 비우도록 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복근에 의해 보호되는 복부장기는 흡기 시에 횡격막이 밑으로 처지는 것을 막고 호기 시에 위로 움직이도록 돕는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횡격막이 반대로 작용할 수 있다. 극적인 회백수염에 걸려 인공호흡기 안에 있는 신생아에게서 극단적인 ..

호흡은 기관의 세포와 외부 환경 간의 가스 교환을 의미한다. 호흡에는 다양한 신경적, 화학적 요소와 근육 요소가 연관되지만 여기에서는 특히 근육의 역할에 대해 다루겠다. 호흡은 환기와 순환으로 이루어진다. 환기는 가스가 폐 안팎으로 환류되는 것이고, 순환은 이 가스를 각각의 세포 조직에 운반하는 것이다. 비록 폐와 조직에서 가스의 움직임은 확산에 의한 것이지만, 가스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호흡과 심장의 작용이 필요하다. 호흡을 위한 펌프는 호흡근과 흉곽으로 구성되며, 흉곽은 늑골, 견갑골, 쇄골, 흉골, 흉추로 이루어진다. 이 골격근 펌프의 압력에 의해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폐 안에서 확산되어 가스가 폐안팎으로 교류할 수 있게 한다. 호흡근에 의해 폐와 흉벽, 그리고 공기의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숨쉬기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