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강넙다리관절에서의 뼈운동형상학 정강넙다리관절은 자유도 2를 갖고 있어, 시상면에서의 굽힘과 폄 그리고 무릎이 약간 굽힘 되어 있을 때 제공되는 수평면에서의 안쪽 돌림과 가쪽 돌림이 일어난다. 무릎에서 일어나는 이마면에서의 동작은 단지 수동에 의해서만 일어나게 되며, 그 움직임의 양도 약 6~7도로 제한된다. 굽힘과 폄 무릎에서의 굽힘과 폄은 안-가쪽 돌림축에 대해 넙다리뼈에 대한 정강뼈 그리고 정강뼈에 대한 넙다리뼈의 움직음으로 일어난다. 가동범위는 나이와 성에 따라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건강한 무릎에서는 130~150도의 굽힘에서 0도 위치를 넘어 5~10도까지 움직인다. 굽힘과 폄을 위한 안-가쪽 돌림 축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넙다리뼈관절융기들 내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축의 곡선이동경로를..
일반적인 해부학과 정렬의 고려사항 넙다리뼈의 몸통은 무릎관절 쪽으로 내려갈 때 약간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런 사선의 방향은 몸쪽 넙다리뼈에서 보이는 125도의 자연스러운 경사각의 결과이다. 몸쪽 정강뼈의 관절면은 거의 수평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무릎의 가 쪽은 약170~175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마면 내에서의 이러한 정상적인 정렬을 밖굽이무릎이라 한다. 무릎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이마면 정렬의 편차는 흔하다. 가 쪽 각도가 170도 이하일 대를 과도한 밖굽이무릎 또는 충돌무릎이라 부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가 쪽 각도가 180도 이상일 때는 안굽이무릎 또는 활모양다리라 부른다. 엉덩관절의 새로 또는 수직 돌림 축은 넙다리뼈머리와 무릎관절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다. 이 세로축은 무릎관절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