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형적인 관절 형태학 관절운동형상학은 관절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운동을 설명한다. 관절의, 관절면 형태는 편평한 것에서부터 곡선을 이룬 것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관절면은 약간의 곡선이라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관절면은 비교적 볼록하고 이와 마주 보는 다른 관절면은 비교적 오목하다. 대부분의 관절에서 나타나는 볼록-오목의 관계는 관절의 일치성은 향상하고, 접촉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표면적을 증가시키며, 뼈들 사이의 운동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절면 사이의 기본적인 움직임 곡선으로 된 관절면들 사에은 세 가지의 기본적인 움직임인 구르기, 미끄러짐, 그리고 스핀이 있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오목 관절면에 대한 볼록 관절면의 움직임 또는 볼록 관절면에 대한 오목 관절면의 움직임으로 일..
운동면 뼈운동형상학은 신체의 3가지 기본적인 운동면인 시상면, 이마면, 그리고 수평면에서 일어나는 뼈의 운동을 말한다. 이러한 운동면들은 사람이 해부착적위치 서있는 상황에서 설명된다. 시상면은 머리뼈의 시상봉합에 대해 평행하게 지나가는 면으로서, 신체를 앞쪽과 뒤 쪽 부분으로 나눈다. 수평면은 수평선에 대해 평행하게 지나가는 면으로서, 신체를 위쪽과 아래쪽 부분으로 나누다. 돌림축 뼈는 돌림축과 직각을 이루고 있는 운동면내에서 관절에 대해 돌림운동을 한다. 대략적인 추정으로써, 축은 볼록 관절면을 통과해 지나간다고 가정된다. 예를 들어, 어깨는 3개의 모든 운동면에서 움직임이 허용되기 때문에 3개의 돌림축을 가지고 있다. 서로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있는 3개의 축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견갑 상완근의 대항 균형 효과는 견갑골 관절와와 관련된 상완골의 최적 조절에 중요하다. 가장 대표적인 손상은 다음과 같다. 1. 외회전근의 단축 또 는 뻣뻣함 2. 외회전근 작용의 불충분으로 대결절이 견봉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부적당한 상완골 외회전 3. 견갑하근의 불충분한 활동의 결과로 상완골 두의 전방, 상방활주 발생 4. 삼각근이 우세하여 상완골두의 전방, 상방활주유발 5. 외회전근과 소원근의 단축으로 상완골두의 정확한 축 회전 유지를 방해 6. 특히 후방-하부의 관절낭 단축. 회전 건개 근육들은 관절낭의 내재 부분이기 때문에 이 근육들의 단축 또는 뻣뻣함은 관절낭에도 비슷한 영향을 미친다. 삼각근은 상완골을 외전 시킨다. 삼각근의 전 부분은 상완골을 굴곡시키고 내회전 시키며, 후 부분은 상완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