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에 작용하는 앞쪽 몸통 근육 양쪽 외복사근이 동시에 수축할 때 후방 골반경사가 일어난다 한쪽 외복사근과 반대쪽 내복사근이 수축하면 몸통이나 골반의 회전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왼쪽 외복사근과 오른쪽 내복사근이 수축하면 몸통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거나, 골반이 시계 방향으로 돌아간다. 한쪽 외복사근 외측부가 수축하면 장골능이 같은 쪽 머리 방향으로 움직여 외측 경사가 일어난다. 이 근육은 검진을 실시하면 일반적으로 약한다, 특히 여성에서 심하다. 외복사근의 필수적인 역할은 후방 골반경사 시키고, 허리뼈를 편평하게 하고, 지지하며, 회전을 조절(특히 골반 회전을 제한하는것으로 여겨짐)하는것이기때문에, 적절한 수행이 꼭 필요하다. 종종 외복사근은 골반을 후방경사 시킬 때 복직근보다 덜 우세하게 작용한다...
근력 적절한 치료계획을 구성하기 위하여 근육계의 손상을 유발하는 요소와 운동계 손상에 기여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근육의 수축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근섬유의 수, 각 섬유 안의 수축 요소의 수축 또는 비대, 배열, 근섬유의 기본적 길이,수축요소의 형상, 과신장, 또는 중첩이 있다. 근육의 힘은 근육의 생리학적 단면적에 비례한다. 생리학적 단면적은 근육 안의 수축 요소의 숫자를 의미한다. 근육의 최소의 장력도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일상적인 요구가 있다면 수축 요소를 소실하거나 또는 위축이 발생할 것이다. 역으로 근육의 적응 능력 범위내에서 긴장의 요구도가 많고, 긴장이 크게 발생하는 일상적인 요구가 있게 되면 근육세포들은 비대해질 것이다. 근육의 크기, 즉 굵기의 변화는 근질의 감..
머리와 목 이상적인 정렬 상태의 머리와 목을 보면 머리의 균형이 잡힌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근육 작용만으로도 유지할 수 있다. 측면에서 보면, 기준선이 귓불과 일치하고 목은 전방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룬다. 후면에서 보면, 기준선이 머리 중심선과 경추 극돌기와 일치한다. 머리는 상방이나 하방으로 기울지 않고, 양옆으로 기울지 않음은 물론 회전하지 않으며, 턱은 전인 되지 않는다. 머리와 목의 좋은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등 상부의 정렬 상태가 좋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머리와 목의 자세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서 있거나 앉은 자세에서 등 상부가 둥그렇게 굽게 되면, 그로 인한 보상작용으로 머리와 목의 위치도 변하게 된다. 등 상부는 굽었는데 목이 정상 상태이고 머리가 고정되어있다면, 머리는 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