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 Kendall에 의하면 골반의 이상적인 정렬은 전상장골결절이 치골결합과 동일한 수직면에 있는 것이다. 수평면과 후상장골결절에서 전상장골결절로 이어지는 선이 이루는 각도인. 골반경사는 임상적 평가에서 빈번히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 각은 5도 이하로 매우 작아야 한다는 것이다. 시체의 골반을 이용하여 전상장골결절과 치골결합과 같은 수직선상에 있을 때, 수평면과 전상장골결절과 후상장골결절이 이루는 선 사이의 각은 12도만큼 다양하였다. 그러므로 평가자는 최적의 정렬은 전상장골결절과 후상장골결절이 완전하게 수평선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기대해서는 안된다. 몇몇 여성의 경우, 전방골반경사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후상장골결절보다 전상장골결절이 훨씬 아래에 있다. 남자에서는 전상장골결절과 후상장골결절 사이의 극단..
증후군들은 통증을 지속적으로 유발하는 정렬, 스트레스. 운동방향에 의해 명명되었다. 모든 환자들은 단지 하나의 방향에서 양성 검사 결과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없으며, 특정 검사에서보다 어떤 검사들에서 더 민감할 수 있다. 특별한 방향으로 운동이 일어날 때 증상들의 강도, 운동이 교정되었을 때 증상들의 감소, 지속적으로 증상들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운동방향, 이 모든 것들이 적절한 진단적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에서 가중치들이다 검사 결과의 다양성 때문에 검사는 일정한 규칙에 의한 것보다는 조합적이다. 그러므로 치료사는 결정적인 열쇠를 제공하는 단 하나의 검사를 사용하기보다는 진단을 확인 또는 감별하기 위하여 많은 검사들을 사용한다. 검사의 목적은 진단적 분류와 기여하는 인자들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
외복사근 외복사근의 전 섬유의 기시는 다섯 번째에서 여덟 번째 늑골의 외측면이며, 이것은 백선과 같은 건막에 정지한다. 외측 섬유는 아홉 번째에서 12번째 늑골 외측면에 기시 하고, 정지는 서혜 인대, 전상 장골극, 그리고 장골능 전면 1/2에 정지한다. 다른 복근들과 같이 외복사근이 양측으로 작용하면, 요추는 굴곡된다. 이 근육은 늑골에서 기시하여, 골반에 정지하기 때문에 이 근육에서 가장 효과적인 작용은 골반을 후방 경사시키는 것이다. Kendall과 동료들에 의해서 논의된 것처럼, 외복사근은 이 근 육이 당기는 각도가 골반을 후방 경사하여 신체의 하부를 조절하기 때문에 하복 부근으로 간주된다. 반대쪽 내복사근과 작용하여, 몸통의 회전을 만든다. 외측 섬유들은 또한 골반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한다. 대..
장요근 장요근은 모든 요추의 횡돌기 전면, 추체의 옆, 모든 요추와 마지막 흉추의 추간 디스크에서 기시 한다. 장요근의 기능은 고관절 굴곡이다. 근육이 부착한 원위부를 고정하면 척추와 골반이 다리 쪽으로 움직이면서 고관절이 굴곡된다. 이러한 해부학적 연구에 기초하여, Bogduk는 장요근이 요추 굴곡의 주동근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긴 지렛대를 갖도록 근육이 부착하고 있다고 믿지 않았다. 그의 분석에 의하면 기립자세에서 요근은 상부 요추에는 신전 모멘트, 하부 요추에는 굴곡 모멘트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멘트는 척추가 신전되었을 때 더 커지고, 반면에 척추가 굴곡되었을 때는 모든 요추 분절의 모멘트는 굴곡이 되는 경향이 있다. 본질적으로 이 힘은 압박과 전방 전단으로 작용한다. San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