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배근육 광배근 등배근육 중 광배근은 가장 표면층에 있고, 여섯 번째 흉추 아래 극돌기, 요추 전체 극돌기, 천추 장골능으로부터 기시 된 흉요근막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부착되어있다. 근섬유들은 상완골에 부착되기 위하여 상방, 외측으로 모인다. 광배근에 붙어있는 흉요근막은 이 근 육이 요골반 정렬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을 제공한다. 광배근의 수축은 척추의 신전력과 골반의 전방 경사를 만단다. 만약 이 근육이 단축되면, 견관절 굴곡하는 동안 이 근육 길이의 한계 지점에서 근육이 신장되면 보상운동으로써 등배 신전이 발생한다. 상대적 유연성의 개념에 따라 만약 이 근육이 요추 신전을 제한하는 복부근보다 더 뻣뻣함이 있으면, 근육의 단축이 없다고 하여도 광배근이 신장될 때 등배 신전이 발생할 것이다. 신전을 할 ..
슬관절과 족관절에 작용하는 뒷다리 근육 비복근은 슬관절을 굴곡하고 족관절을 족저 굴곡시킨다. 가자미근과 같이, 비복근은 발목의 주요 족저 굴곡근이다. 그러나 댄스와 같은 활동을 하는 사람에게서는 이 근육이 약 해져있을 수 있다. 족저 굴곡을 위해 필요한 힘을 생산하기 위하여 아킬레스건을 단축시켜 사용하는 사람이나 아킬레스건이 단축된 사람의 경우 이 근육의 약화가 발견된다. 근육의 약화를 평가하기 위해, 치료사는 거골하 관절을 중립에 놓고 중족골두보다 종골에서 족저 굴곡에 대항하는 저항을 주어야 한다.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약화가 있을 때, 환자는 치료사의 저항에 대응하여 발목을 족저 굴곡시키기 어려워한다. 그러나 같은 환자에게 종족골두 수준에서 저항을 가하면, 강하게 족저 굴곡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
골반에 작용하는 앞쪽 몸통 근육 양쪽 외복사근이 동시에 수축할 때 후방 골반경사가 일어난다 한쪽 외복사근과 반대쪽 내복사근이 수축하면 몸통이나 골반의 회전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왼쪽 외복사근과 오른쪽 내복사근이 수축하면 몸통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거나, 골반이 시계 방향으로 돌아간다. 한쪽 외복사근 외측부가 수축하면 장골능이 같은 쪽 머리 방향으로 움직여 외측 경사가 일어난다. 이 근육은 검진을 실시하면 일반적으로 약한다, 특히 여성에서 심하다. 외복사근의 필수적인 역할은 후방 골반경사 시키고, 허리뼈를 편평하게 하고, 지지하며, 회전을 조절(특히 골반 회전을 제한하는것으로 여겨짐)하는것이기때문에, 적절한 수행이 꼭 필요하다. 종종 외복사근은 골반을 후방경사 시킬 때 복직근보다 덜 우세하게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