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추와 견갑골에 붙어 있는 근육들의 참여 패턴, 근력, 근육 길이는 중요하다. 흉견갑 근육은 견갑골의 운동을 책임지고 있으며, 상완견관절에 비정상적인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완골과 최적의 관계를 유지해야만 한다. 최적의 상완 견관절 동작의 핵심은 견관절에 운동이 일어날 때 상완골두가 견갑골 관절와의 중심에 유지되는것이다, 견갑골 관절와 안에서 상완골의 순간 회전 중심 경로는 견갑골관절와 안에서의 운동을 의미한다. 이것은 견갑골 동작을 만들어내는 비교적 정교한 근육들의 타이밍이 필요하다. 승모근과 전거근의 짝힘은 견갑골 운동에 핵심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주의 깊게 평가해야 만한다. 이러한 근육들의 상대적 참여가 변경 괴더나, 길항근에 의해 동작이 제한을 받게 되면 운동 패턴은 붕괴된다. 어깨 운동은 ..
견갑대의 정상 정렬 정렬은 최적의 동작을 위해 교정되어야 할 관절 정렬관 근육 길이 변화를 예측하는데 지표가 된다. 예를 들어, 만약 환자가 견관절을 외전 할 때, 견관절에 내회전이 발생한다면, 시작 정렬 시 중립자세보다 견관절 외전 할 때 더 큰 외회전이 일어나야만 한다. 만약, 상완골이 손상된 초기 정렬을 교정될 만큼 회전되지 않으면, 상완골 대결절이 오훼견봉인대와 충돌할 것이다. 비슷한 예로 만약 안정시 견갑골이 하방 회전이 되어 있다면, 시작 자세의 결함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60도보다 더 많이 상방 회전이 일어나야만 한다, 자주 정렬 결함을 만들어내는 손상은 최적의 운동 달성을 방해한다. 예를 들어서, 만약 능형근이 단축되면 견갑골을 자세적으로 하방 회전시키는데 기여하고, 능형근의 단축은 ..